항암식단 가이드
암환자의 식단은 치료의 한 부분입니다. 암환자 식단에도 정확한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.

포도당 대신 케톤체를 세포 에너지원으로

60~65mg/dl의 저혈당이 항시 유지 되는게 목표
암세포 성장을 유도하고 몸의 염증반응을 증가시키는
인슐린(insulin)과 인슐린양 성장인자(IGF-1)의 수치 감소.
공복장수유전자(시르투인) 스위치 on

-> 미토콘드리아 증가 명령 -> 대사계 변화
만복 상태에서는 글루코스(포도당) 엔진
공복 상태에서는 케톤(지방) 엔진
채식 위주 – 유기농,친환경 파이토케미칼(phytochemical)
- 저탄고지 : 음식재료 및 지방의 질이 좋아야 하고, 전체 먹는 열량은 높지 않게, 여자는 하루 칼로리 1500kcal 이하, 남자는 1800kcal 이하.
- 탄수화물 제한 : 채소, 특히 녹색 잎채소, 색깔이 있는 작은 과일, 적은 양의 밥, 고구마, 감자 등 원재료 자체를 먹는 것은 허용 -> 밥의 경우 콩과 잡곡, 현미 등을 대부분으로 해서 1/3공기 정도
- 지방섭취 : 질좋은 지방(필수지방산)을 500kcal ~ 900kcal, 기름으로 짠것과, 육식을 통한 두 가지 방법, 좋은 기름이 몸을 살리고 세포를 튼튼히 하고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올린다
- 01 . 제철 채소, 나물 및 음식, 무지개 색깔, 1주에 20가지.
- 02 . 맛이 쓴 나물은 항암제다.
- 03 . 황함유 채소; 배추과, 양파과, 버섯과 채소 등.
- 04 . 진한 녹색 잎 채소 – 비타민 B군 복합체 풍부, 미토콘드리아 기능 향상 도움
- 05 . 과일은 하루 50g 이내로 제한; 색깔이 있는 작은 사이즈의 과일.
- 06 . 멸치, 뼈채 먹는 작은 생선 항상 먹을 것(칼슘, 오메가-3, 단백질 등).
- 07 . 달 짜 기 매 금지.
- 08 . 식사 중간에 간식 절대 금지.
